팩트정치

팩트정치

이재명 대통령 충격 발언, "미국 요구 동의했다면 나는 탄핵감이었다"

 이재명 대통령이 3500억 달러 규모의 펀드를 둘러싼 대미 투자 협상 과정에서 미국의 요구가 국내 정치적으로 수용 불가능한 수준이었음을 시사하며, 만약 이를 그대로 받아들였다면 탄핵 사유가 되었을 것이라고 강경한 입장을 밝혔다. 이 대통령은 취임 100일을 맞아 지난 3일 서울에서 진행하고 18일 오전에 공개된 미국 타임지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히고, 미국 협상팀에 일방적인 요구 대신 합리적인 대안을 마련해달라고 역제안한 상태라고 덧붙였다. 이는 현재 진행 중인 한미 간 경제 협상 이면에 상당한 갈등과 압박이 존재함을 드러낸 발언으로, 향후 협상 과정에 적지 않은 파장이 예상된다.

 

이 대통령은 인터뷰에서 복잡하게 얽힌 국제 정세 속 대한민국의 외교적 좌표에 대한 구상도 구체적으로 밝혔다. 특히 미중 관계에 대해서는 "새로운 세계질서와 미국 중심의 공급망 재편 과정에서 미국과 함께할 것"이라고 밝혀 한미동맹을 우선시하겠다는 원칙을 분명히 했다. 그러나 동시에 "중국과의 관계를 적대적으로 만들지 않도록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며, 섣부른 편승 외교에 대한 경계심을 늦추지 않았다. 그는 만약 미중 사이에서 균형을 잃을 경우 "한국이 두 진영 간 전투의 최전선이 될 위험이 있다"고 우려하며, 강대국 사이에서 국익을 극대화해야 하는 고도의 '줄타기 외교'가 불가피함을 역설했다.

 


북한 문제와 관련해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역할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파격적인 제안을 내놓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을 노벨 평화상 후보로 지명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그는 "북한과의 관계 개선 문제에 구체적인 진전이 있다면, 그 상을 받을 자격이 있는 다른 사람은 없을 것"이라고 답했다. 이는 향후 북미 관계 개선 과정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적극적인 역할을 유도하고, 동시에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에 대한 강력한 추진 의지를 대외적으로 천명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한편, 이 대통령은 국내 상황에 대해서는 "매우 심각한 위기"라는 냉정한 진단을 내렸다. 그는 산적한 국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최우선 과제로 경제 성장을 꼽으며, "우리 경제를 다시 성장 궤도에 올려놓고 국민을 위한 기회를 늘려야만 위기를 극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결국 그의 대외 정책 구상 역시 '심각한 위기'에 봉착한 국내 경제의 활로를 뚫기 위한 전략적 선택의 일환임을 분명히 한 셈이다.